아버지의 일기장
페이지 정보
본문
아버지의 일기장
평생, 일그러진 얼굴로 숨어살다시피한
아버지가 있었습니다.
그에게는 아들과 딸, 남매가 있었는데
심한 화상으로 자식들을,
돌볼 수가 없어, 고아원에 맡겨놓고
시골의 외딴집에서 살았습니다.
한편, 아버지가 자신들을 버렸다고
생각한 자식들은, 아버지를
원망하며 자랐습니다.
어느 날, 아버지라며 나타난 사람은
화상을 입어 얼굴이 흉하게
일그러져있었고, 손가락은 붙거나
없는 모습이었습니다.
"흉직한 저 사람이 우리를 낳아준 사람이란 말이야?"
자식들은 충격을 받았고,
차라리 고아라고 생각했던 시절이
좋았다며 아버지를 외면해 버렸습니다.
시간이 흘러 자식들은 성장하여, 결혼을 하고
가정을 이루었지만 아버지는 여전히 사람들,
앞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고
혼자 외딴집에서 지냈습니다.
몇년 뒤, 자식들은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동안, 왕래가 없었고
아버지를 인정하지않고 살았던
자식들인지라, 아버지의 죽음앞에서도
별다른 슬픔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자신들을 낳아준 아버지의
죽음까지, 외면할 수없어서
시골의 외딴 집으로 갔습니다.
외딴 집에는 아버지의 차거운주검만이
기다리고있었습니다.
그때, 마을노인 한 분이 문상을 와서
"아버지는 평소에 버릇처럼 '화장은 싫다'라며
뒷산에 묻히기를 원했다."라고 일러주셨습니다.
그러나 원망했던 아버지이기에 자식들은,
아버지를 산에 묻으면 명절이나 때마다 찾아오는 것이
번거룹고 귀찮아서 화장을 하였습니다.
아버지를 화장하고, 돌아온 자식들은 아버지의 유품을
정리해 태우기 시작했습니다.
평소, 덮었던 이불이랑 옷가지들을 비롯해 아버지의
흔적이 배어있는 물건들을 몽땅 끌어다 불을 질렀습니다.
마지막으로 책들을 끌어내 불속에 집어넣다가,
"비망록"이라고, 쓰인 빛바랜 아버지의 일기장을
발견했습니다. 불길이 일기장에 막 붙는 순간
왠지 이상한 생각이 들어 얼른 꺼내 불을 껐습니다.
그리곤 연기가 나는 일기장을 한 장, 한 장 넘겨가며
읽기 시작했습니다.
아들과 딸은 일기장을 읽다가 그만 눈물을 흘리며
통곡을 하였습니다.
일기장 속에는 아버지가 보기 흉한 얼굴을 가지게된,
사연이 쓰여 있었습니다.
아버지의 얼굴을 그렇게 만든 것은 바로 자신들이었습니다.
"우리들의 불장난때문에..."
일기장은 죽은 아내와 아이들에게 쓰는 편지로 끝이 났습니다.
"여보! 내가 당신을 여보라고 부를 자격이나
있는 놈인지조차 모르겠소.
그날 당신을 업고, 나오지 못한 날 용서하시구려
울부짖는 아이들의 울음소리를 뒤로하고,
당신만을 업고나올 수가 없었다오.
여보! 하늘나라에서 잘있지?
아버지로서 해준 것은 없지만, 아이들은 잘자라
모두들 가정을 이루었소.
그리고 내 앞으로 있던, 부동산은 모두 처분하여
법적으로 후일, 아이들에 몫으로 해놓았소.
내 당신곁에 가면 다 얘기해 주겠소.
이제 이승의 인연은 다 끝난 것 같구료,
당신곁으로 어서 가고 싶소.
그리고 만나면 날 너무 나무라지 말아주시오.
그리고
"보고싶은 내 아들, 딸에게,
평생, 너희들에게 아버지역할도 제대로 못하고
이렇게 짐만 되는 삶을 살다가 가는구나,
미안하구나 사랑하는 아들, 딸아! 염치불구하고
한가지 부탁이 있단다.
내가 죽거든 절대로 화장은 하지말아다오.
평생, 밤마다 불에 타는 악몽에 시달리며
삼십년을 살았단다. 그러니 제발!.........."
"아버지!~~"
"아빠!~~"
뒤늦게, 자식들은 후회하며 통곡하며 울부짖었지만
아버지는 이미 화장이 되어 연기로 사라진 뒤였습니다.
수욕정이풍부지(樹欲靜而風不止):
나무는 가만히 있고자하나 바람이 멈추지 않고
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자식은 봉양하고자하나 부모님은 기다리지 않네
왕이불가추자년아(往而不可追者年也):
한번 흘러가면 쫓을 수 없는 것이 세월이요
거이불견자친야(去而不見者親也):
돌아가시면 다시 볼 수 없는 것이 부모님이시네'
자식을 위한 희생과 헌신으로 평생을 사신
부모님의 사랑을 느끼게 하는 글입니다.
아버지! 어머니! 낳아서 길러주시고 사랑해주셔서
고맙고 감사합니다.
평생, 일그러진 얼굴로 숨어살다시피한
아버지가 있었습니다.
그에게는 아들과 딸, 남매가 있었는데
심한 화상으로 자식들을,
돌볼 수가 없어, 고아원에 맡겨놓고
시골의 외딴집에서 살았습니다.
한편, 아버지가 자신들을 버렸다고
생각한 자식들은, 아버지를
원망하며 자랐습니다.
어느 날, 아버지라며 나타난 사람은
화상을 입어 얼굴이 흉하게
일그러져있었고, 손가락은 붙거나
없는 모습이었습니다.
"흉직한 저 사람이 우리를 낳아준 사람이란 말이야?"
자식들은 충격을 받았고,
차라리 고아라고 생각했던 시절이
좋았다며 아버지를 외면해 버렸습니다.
시간이 흘러 자식들은 성장하여, 결혼을 하고
가정을 이루었지만 아버지는 여전히 사람들,
앞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고
혼자 외딴집에서 지냈습니다.
몇년 뒤, 자식들은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동안, 왕래가 없었고
아버지를 인정하지않고 살았던
자식들인지라, 아버지의 죽음앞에서도
별다른 슬픔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자신들을 낳아준 아버지의
죽음까지, 외면할 수없어서
시골의 외딴 집으로 갔습니다.
외딴 집에는 아버지의 차거운주검만이
기다리고있었습니다.
그때, 마을노인 한 분이 문상을 와서
"아버지는 평소에 버릇처럼 '화장은 싫다'라며
뒷산에 묻히기를 원했다."라고 일러주셨습니다.
그러나 원망했던 아버지이기에 자식들은,
아버지를 산에 묻으면 명절이나 때마다 찾아오는 것이
번거룹고 귀찮아서 화장을 하였습니다.
아버지를 화장하고, 돌아온 자식들은 아버지의 유품을
정리해 태우기 시작했습니다.
평소, 덮었던 이불이랑 옷가지들을 비롯해 아버지의
흔적이 배어있는 물건들을 몽땅 끌어다 불을 질렀습니다.
마지막으로 책들을 끌어내 불속에 집어넣다가,
"비망록"이라고, 쓰인 빛바랜 아버지의 일기장을
발견했습니다. 불길이 일기장에 막 붙는 순간
왠지 이상한 생각이 들어 얼른 꺼내 불을 껐습니다.
그리곤 연기가 나는 일기장을 한 장, 한 장 넘겨가며
읽기 시작했습니다.
아들과 딸은 일기장을 읽다가 그만 눈물을 흘리며
통곡을 하였습니다.
일기장 속에는 아버지가 보기 흉한 얼굴을 가지게된,
사연이 쓰여 있었습니다.
아버지의 얼굴을 그렇게 만든 것은 바로 자신들이었습니다.
"우리들의 불장난때문에..."
일기장은 죽은 아내와 아이들에게 쓰는 편지로 끝이 났습니다.
"여보! 내가 당신을 여보라고 부를 자격이나
있는 놈인지조차 모르겠소.
그날 당신을 업고, 나오지 못한 날 용서하시구려
울부짖는 아이들의 울음소리를 뒤로하고,
당신만을 업고나올 수가 없었다오.
여보! 하늘나라에서 잘있지?
아버지로서 해준 것은 없지만, 아이들은 잘자라
모두들 가정을 이루었소.
그리고 내 앞으로 있던, 부동산은 모두 처분하여
법적으로 후일, 아이들에 몫으로 해놓았소.
내 당신곁에 가면 다 얘기해 주겠소.
이제 이승의 인연은 다 끝난 것 같구료,
당신곁으로 어서 가고 싶소.
그리고 만나면 날 너무 나무라지 말아주시오.
그리고
"보고싶은 내 아들, 딸에게,
평생, 너희들에게 아버지역할도 제대로 못하고
이렇게 짐만 되는 삶을 살다가 가는구나,
미안하구나 사랑하는 아들, 딸아! 염치불구하고
한가지 부탁이 있단다.
내가 죽거든 절대로 화장은 하지말아다오.
평생, 밤마다 불에 타는 악몽에 시달리며
삼십년을 살았단다. 그러니 제발!.........."
"아버지!~~"
"아빠!~~"
뒤늦게, 자식들은 후회하며 통곡하며 울부짖었지만
아버지는 이미 화장이 되어 연기로 사라진 뒤였습니다.
수욕정이풍부지(樹欲靜而風不止):
나무는 가만히 있고자하나 바람이 멈추지 않고
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자식은 봉양하고자하나 부모님은 기다리지 않네
왕이불가추자년아(往而不可追者年也):
한번 흘러가면 쫓을 수 없는 것이 세월이요
거이불견자친야(去而不見者親也):
돌아가시면 다시 볼 수 없는 것이 부모님이시네'
자식을 위한 희생과 헌신으로 평생을 사신
부모님의 사랑을 느끼게 하는 글입니다.
아버지! 어머니! 낳아서 길러주시고 사랑해주셔서
고맙고 감사합니다.
추천6
댓글목록
노는언니님의 댓글
노는언니 작성일좋아요
일등신부감님의 댓글
일등신부감 작성일
이 글 너무 슬프네요 ㅠㅠ 너무 눈물이 날 거 같아요
아버지가 평생을 죄인으로 사셨다는 게 평생 자식을 생각하는 마음이 너무 감동적이네요 부모님께 더 잘 해드려야겠어요
운강님의 댓글
운강 작성일일등신부감님은 평소에도 정성을 다해 부모님께 잘 해주시는 것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