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어(錢魚)의 맛
페이지 정보
본문
전어(錢魚)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게 한다는 전어(錢魚).
전어(錢魚)를 구우면 그 냄새에 이끌려 집으로 들어온다고 하니 그 냄새가 그렇게 좋을까? 죽을 마음을 먹은 사람에게 도로 식욕이 돋게 할 정도로? 그러나 항간에는 집 나간 며느리가 다시 돌아온 것은 전어(錢魚)의 단백질과 지방이 불에 타는 냄새와 연기가 마치 사람이 타는 것과 비슷해서 며느리는 사실 시어머니가 돌아가신 줄 알고 돌아온 것이라는 것 인데....믿거나 말거나 말입니다.
그런데 전어(錢魚)라는 이름에 쓰인 ‘전(錢)’자는 돈을 뜻합니다. 맛있고 인기가 많아서 돈처럼 거래된다고도 하고, 돈이 많은 사람도 돈이 없는 사람도 모두 찾아 먹는 생선이라 그렇게 불리는 것도 같기도 합니다. 사실 전어(錢魚)는 도미나 고등어처럼 누구나 좋아하는 인기생선은 아니었습니다.
모두 가난했던, 그 시절 사람들은 동물성 지방 섭취를 위해 근해에서 잘 잡히는 생선 위주로 섭취했는데 그중 하나가 전어(錢魚)였습니다. 흔해서 많이 먹었다는 얘기입니다. 특별히 크지도 작지도 않은 몸집에 기름기가 적당히 도는 전어(錢魚)는 싼값에 인기가 많았다고 전해집니다.
며느리 얘기 말고도 ‘가을 전어(錢魚)’ 맛을 논할 때 빠지지 않는 소리가 있다. ‘가을 전어(錢魚)는 깨가 서 말’. 정확히는 가을철 기름기가 오른 전어(錢魚) 머리를 먹었을 때 마치 참깨를 먹는 것처럼 고소하다는 뜻인데 생선 머리에서 참깨 맛이 날 리가 있겠나. 이런 말들은 언뜻 속담처럼 오래된 진리를 품은 것처럼, 들리지만 실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도 많습니다.
전어(錢魚)도 금어기가 있습니다. 전어(錢魚)가 산란하는 5월부터 7월 중순까지는 잡을 수 없습니다. 이 시기 전어(錢魚)들은 충분한 먹이활동을 하며 살을 찌웁니다. 전어(錢魚)는 난류성 어종이기 때문에 바닷물 수온이 적당한 늦여름, 금어기 이후에 최상의 컨디션과 연한 뼈, 그리고 오동통한 살집까지 최고의 상품성을 가집니다. 대부분의 소비자가 ‘가을 전어(錢魚)’를 때문에 9월 중순 이후로 전어(錢魚)는 부르는 게 값인 그야말로 돈값 제대로 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맛있으면서 값도 싼 진짜 전어(錢魚) 철은 바로 지금입니다. 수온이 내려가고 전어(錢魚)가 따뜻한 바다로 도망가는 쌀쌀한 날씨가 되면, 이미 늦다는 소리지요. 국내 최대 전어(錢魚) 산지인 경남 삼천포에서 20여년 전부터 열리는 전어(錢魚)축제 역시 매년 7월 말에서 8월 초·중순에 열립니다.
전어(錢魚)는 불에 구워 먹을 때가 제일 맛있습니다. 8월 전어는 뼈가 연해 다들 세꼬시나 회무침 등을 선호하지만, 직화구이를 좋아하기도 하지요. 금어기 이후 통통히 오른 살과 불이 만나면 진짜 깨를 볶는 듯 고소한 기름내가 타다닥 소리와 함께 퍼집니다. 전어 껍질이 거뭇하게 바삭해지면, 굵은 소금을 팍 뿌리고 젓가락으로 가운데 살을 찌른 다음 껍질과 살 사이에서 배어 나오는 육즙과 기름이 합쳐져 슬쩍 녹아든 소금기와 함께, 어우러진 전어살을 입에 넣으면 정말 입안에 침이 가득, 살살 녹아내립니다.
전어(錢魚)처럼 기름진 생선은 무조건 아가미 아래쪽의 ‘배받이살’을 먼저 먹어야 합니다. 내장이 꽉 차있던 이 살은 쇠고기로 따지면 갈빗살, 돼지고기로 따지면 삼겹살 부위와 같지요. 깨가 서 말이라는 고소함은 머리가 아닌 이 배받이살에서 나온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아이들에게 전어(錢魚)를 발라 먹일 때 다른 쪽 살을 왕창 주고 이 배받이살은 사수한 채 천천히 가시를 발라먹는 겁니다. 잔가시가 세로로 박혀있는, 배받이살을 힘겹게 발라먹는 내 모습에 아이들은,
“엄마도 흰 살 먹어!”
라며 안타까워했지만 사실 딱히 엄마의 마음으로만 그런 건 아니었습니다.
“지금 전어(錢魚)철이 왔지요?”
전어 좀 드시고 다가오는 가을을 만끽하세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게 한다는 전어(錢魚).
전어(錢魚)를 구우면 그 냄새에 이끌려 집으로 들어온다고 하니 그 냄새가 그렇게 좋을까? 죽을 마음을 먹은 사람에게 도로 식욕이 돋게 할 정도로? 그러나 항간에는 집 나간 며느리가 다시 돌아온 것은 전어(錢魚)의 단백질과 지방이 불에 타는 냄새와 연기가 마치 사람이 타는 것과 비슷해서 며느리는 사실 시어머니가 돌아가신 줄 알고 돌아온 것이라는 것 인데....믿거나 말거나 말입니다.
그런데 전어(錢魚)라는 이름에 쓰인 ‘전(錢)’자는 돈을 뜻합니다. 맛있고 인기가 많아서 돈처럼 거래된다고도 하고, 돈이 많은 사람도 돈이 없는 사람도 모두 찾아 먹는 생선이라 그렇게 불리는 것도 같기도 합니다. 사실 전어(錢魚)는 도미나 고등어처럼 누구나 좋아하는 인기생선은 아니었습니다.
모두 가난했던, 그 시절 사람들은 동물성 지방 섭취를 위해 근해에서 잘 잡히는 생선 위주로 섭취했는데 그중 하나가 전어(錢魚)였습니다. 흔해서 많이 먹었다는 얘기입니다. 특별히 크지도 작지도 않은 몸집에 기름기가 적당히 도는 전어(錢魚)는 싼값에 인기가 많았다고 전해집니다.
며느리 얘기 말고도 ‘가을 전어(錢魚)’ 맛을 논할 때 빠지지 않는 소리가 있다. ‘가을 전어(錢魚)는 깨가 서 말’. 정확히는 가을철 기름기가 오른 전어(錢魚) 머리를 먹었을 때 마치 참깨를 먹는 것처럼 고소하다는 뜻인데 생선 머리에서 참깨 맛이 날 리가 있겠나. 이런 말들은 언뜻 속담처럼 오래된 진리를 품은 것처럼, 들리지만 실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도 많습니다.
전어(錢魚)도 금어기가 있습니다. 전어(錢魚)가 산란하는 5월부터 7월 중순까지는 잡을 수 없습니다. 이 시기 전어(錢魚)들은 충분한 먹이활동을 하며 살을 찌웁니다. 전어(錢魚)는 난류성 어종이기 때문에 바닷물 수온이 적당한 늦여름, 금어기 이후에 최상의 컨디션과 연한 뼈, 그리고 오동통한 살집까지 최고의 상품성을 가집니다. 대부분의 소비자가 ‘가을 전어(錢魚)’를 때문에 9월 중순 이후로 전어(錢魚)는 부르는 게 값인 그야말로 돈값 제대로 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맛있으면서 값도 싼 진짜 전어(錢魚) 철은 바로 지금입니다. 수온이 내려가고 전어(錢魚)가 따뜻한 바다로 도망가는 쌀쌀한 날씨가 되면, 이미 늦다는 소리지요. 국내 최대 전어(錢魚) 산지인 경남 삼천포에서 20여년 전부터 열리는 전어(錢魚)축제 역시 매년 7월 말에서 8월 초·중순에 열립니다.
전어(錢魚)는 불에 구워 먹을 때가 제일 맛있습니다. 8월 전어는 뼈가 연해 다들 세꼬시나 회무침 등을 선호하지만, 직화구이를 좋아하기도 하지요. 금어기 이후 통통히 오른 살과 불이 만나면 진짜 깨를 볶는 듯 고소한 기름내가 타다닥 소리와 함께 퍼집니다. 전어 껍질이 거뭇하게 바삭해지면, 굵은 소금을 팍 뿌리고 젓가락으로 가운데 살을 찌른 다음 껍질과 살 사이에서 배어 나오는 육즙과 기름이 합쳐져 슬쩍 녹아든 소금기와 함께, 어우러진 전어살을 입에 넣으면 정말 입안에 침이 가득, 살살 녹아내립니다.
전어(錢魚)처럼 기름진 생선은 무조건 아가미 아래쪽의 ‘배받이살’을 먼저 먹어야 합니다. 내장이 꽉 차있던 이 살은 쇠고기로 따지면 갈빗살, 돼지고기로 따지면 삼겹살 부위와 같지요. 깨가 서 말이라는 고소함은 머리가 아닌 이 배받이살에서 나온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아이들에게 전어(錢魚)를 발라 먹일 때 다른 쪽 살을 왕창 주고 이 배받이살은 사수한 채 천천히 가시를 발라먹는 겁니다. 잔가시가 세로로 박혀있는, 배받이살을 힘겹게 발라먹는 내 모습에 아이들은,
“엄마도 흰 살 먹어!”
라며 안타까워했지만 사실 딱히 엄마의 마음으로만 그런 건 아니었습니다.
“지금 전어(錢魚)철이 왔지요?”
전어 좀 드시고 다가오는 가을을 만끽하세요.
추천5
- 이전글오산 맛집추천 장백양꼬치 23.08.28
- 다음글칠월 칠석 23.08.21
댓글목록
이현우님의 댓글
이현우 작성일가을의 맛